본문 바로가기
영화

영화 <가스등 >리뷰

by 리치홈 2024. 12. 19.
반응형

1. 줄거리 요약: 심리적 조작의 미로

가스등은 한 여성의 정신적 혼란과 이를 교묘하게 조작하는 남편 사이의 치밀한 심리전을 그린 영화입니다. 영화는 어린 시절 고모가 살해당하는 끔찍한 사건을 겪은 폴라(잉그리드 버그만)가 남편 그레고리(찰스 보이어)와 결혼하며 고모의 엿 저택으로 이사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하지만 그곳에서 폴라는 이상한 현상들을 경험합니다. 가스등의 밝기가 줄어들거나, 사라진 물건이 다시 나타나는 등, 그녀는 점차 자신의 정신 상태를 의심하게 됩니다.

이 모든 일은 사실 남편 그레고리의 치밀한 계획으로, 그는 폴라를 미치게 만들어 그녀의 재산을 차지하려 합니다. 그러나 마지막 순간에 경찰관 브라이언(조지프 코튼)의 도움으로 진실이 밝혀지며 그레고리의 음모는 무너지고 폴라는 자신의 정신적 자립을 회복합니다.

2. 시대적 배경

1944년에 개봉한 가스등은 제2차 세계대전 중에 만들어졌습니다. 당시 영화는 전쟁으로 인한 불안감을 반영하거나 일상에서의 심리적 갈등을 탐구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전쟁의 혼란 속에서 인간의 심리를 깊이 파헤치는 영화들이 인기를 얻었으며, 가스등도 이러한 흐름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전후 시대에 여성의 사회적 지위 변화와 심리적 억압 문제를 탐구한 점에서 시대의 흐름을 반영합니다. 영화의 이야기는 19세기 빅토리아 시대를 배경으로 펼쳐집니다. 당시 여성들은 가부장적 사회에서 남성에 의해 쉽게 통제되고 억압받는 경우가 많았으며, 폴라의 고난은 이런 사회적 현실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가스등은 당시 영국의 주거 환경을 상징하며, 영화 제목으로 사용되어 극의 긴장감을 배가시킵니다.

3. 영화적 테마와 메시지

영화의 가스라이팅에서 비롯된 "가스라이팅"은 심리학적으로 인간의 감정과 현실 인식에 깊은 영향을 미치는 조작 기법입니다. 이 심리적 메커니즘은 영화 속 그레고리가 아내 폴라에게 사용한 조작 방식을 통해 체계적으로 묘사됩니다. 

가스라이팅은 타인의 현실 인식, 기억, 판단을 조작하여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드는 심리적 학대 행위입니다. 상대방의 자아를 약화시켜 조작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상대를 통제하거나 의존하도록 만드는 것이 목적입니다. 그래서 피해자는 스스로를 의심하게 되고, 자신의 판단력을 신뢰하지 못하며 점차 조작자에게 종속됩니다. 영화 속에서 어떻게 현실을 왜곡시켰는지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현실 왜곡 단계로 조작자는 피해자가 경험한 현실을 부정하거나 왜곡하여 혼란을 조성합니다. 영화 속에서, 폴라가 물건이 없어졌다고 주장하면, 그레고리는 "네가 잊었거나 상상한 거야."라고 단언하며 그녀의 기억을 부정합니다. 가스등의 밝기가 줄어들었을 때도 폴라의 질문에 "빛은 아무 변화도 없어."라며 현실을 왜곡합니다. 그로 인해, 피해자는 자신의 경험을 신뢰하지 못하고, 조작자의 말에 의존하게 됩니다. ㉯자기 의심을 조장하는 단계로 조직자는 피해자의 자존감을 끊임없이 낮추고, 그들이 가진 확신을 무너뜨립니다. 폴라가 "내가 미쳤나 봐."라고 말하는 장면은 그레고리의 반복적인 조작이 그녀의 자아를 어떻게 붕괴시켰는지 보여줍니다. 피해자는 자아감이 약화되고, 판단을 내릴 때마다 조작자의 의견에 의존하게 됩니다. ㉰긍정과 부정의 끊임없는 반복으로 인해 혼란을 조성하는 단계로 조작자는 피해자에게 따뜻한 태도를 보이다가 갑작스레 비난하며, 피해자가 혼란에 빠지게 합니다. 영화 속에서 그레고리는 한편으로는 다정한 남편처럼 행동하다가, 폴라의 문제를 지적하며 그녀를 공격합니다. 피해자는 조작자의 감정변화를 예측할 수 없어 긴장 상태에 놓이고, 더 큰 통제 아래 놓이게 됩니다. ㉱고립화 단계로 피해자를 이제 다른 사람들과의 단계에서 단절시키고, 조작자만을 의존하게 만듭니다. 영화에서 그레고리는 폴라를 "넌 불안정해서 사람들과 어울리는 게 안돼."라고 설득하며 외부 세계와 단절시킵니다. 피해자는 도움을 요청할 외부의 연결고리를 잃고, 조작자와의 관계에 완전히 갇히게 됩니다. 

가스등은 영화 속에서만 존재하는 문제가 아닙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가스라이팅은 심리적 학대의 주요 형태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가정에서의 가스라이팅 같은 경우, 가족이나 배우자가 피해자를 통제하려는 방식으로 가스라이팅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직장에서의 가스라이팅의 경우, 상사가 부하 직원에게 "너는 항상 실수해" 같은 말을 반복하며 자신감을 약화시키는 상황도 가스라이팅의 예입니다. 정치적, 사회적 권력 구조에서도 가스라이팅은 종종 사용됩니다. "너희가 잘못된 정보를 믿고 있어"와 같은 메시지는 대중을 혼란스럽게 만드는 데 활용됩니다.

피해자가 가스라이팅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영화에서 보면 브라이언 경관이 폴라를 돕듯, 외부의 객관적 시선을 통해 가스라이팅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폴라는 남편의 학대 속에서 점차 자신의 정체성과 현실 감각을 잃어가지만, 결국 도움을 받아 자립을 회복합니다. 이는 당시 사회에서 여성들이 겪는 억압적 상황과 이를 극복하는 과정을 은유적으로 표현합니다. 영화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진실과 권력, 진실을 은폐하고 권력을 유지하려는 자와, 이를 밝혀내려는 자의 대립을 통해 권력의 본질을 탐구합니다.

4. 총평

가스등은 단순한 심리 스릴러를 넘어, 인간의 심리적 조작과 이에 맞서는 개인의 회복 과정을 탐구한 걸작입니다. 잉그리드 버그만의 열연과 조지 쿠커의 정교한 연출은 영화를 더욱 빛나게 만들며, 시대를 초월한 고전으로 자리 잡게 했습니다. 오늘날에도 "가스라이팅"이라는 개념이 회자되며 영화의 중요성과 메시지는 여전히 유효합니다.

반응형